티스토리 뷰
목차
2025년 2월 24일부터 시내버스가 확 달라집니다. 노선도부터 시간표, 요금까지 대대적인 변화가 있다고 하는데 어떤 점들이 바뀌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대구 시내버스 개편
대구 시민들의 일상에 큰 변화를 가져올 대구 시내버스 개편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10년 만에 이루어지는 대규모 개편이라고 하니 기대도 되고 한편으로는 걱정도 되는데요. 이번 개편에 대해 꽤 관심이 많았습니다. 특히 제가 자주 이용하는 노선이 바뀐다고 해서 더욱 이번 개편 내용을 자세히 알아보고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개편은 단순히 버스 노선만 바뀌는 게 아니라 시간표, 요금 체계, 그리고 심지어 버스 탑승 방식까지 변화한다고 하니 대대적인 변화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대구 시내버스 개편 노선도
먼저 가장 큰 변화라고 할 수 있는 노선도 개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노선 수 증가 기존 122개에서 127개로 증가 신설 20개, 변경 54개, 폐지 15개, 존치 53개 조정률: 56.6% 직행노선 신설 직행
직행 노선 신설
직행 노선이 새롭게 추가되어 이동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직행 1번, 직행 2번, 급행 노선까지 총 20개의 새로운 노선이 생겨납니다.
대구 시민들의 대중교통 이용이 훨씬 편리해질 것 같습니다!
직행 1번 노선
직행1번은 칠곡 '학정 청아람'역에서 출발해 영남대까지 55분 만에 이동합니다.
단 2개의 정류장만 거치는 파격적인 노선입니다. 기존 노선으로는 상상하기 어려웠던 빠른 이동이 가능해졌습니다.
직행 2번 노선
직행2번은 국가산업단지에서 출발해 동대구역까지 연결됩니다.
산업단지 내 주요 지점과 2.28공원을 경유합니다. 산업단지에서 동대구역으로의 접근성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급행 노선 신설
급행9-2번은 동호동에서 삼국유사면을,
급행9-3번은 동호동에서 소보면을 연결합니다.
급행10번은 대천동에서 반야월을 잇습니다. 대구 외곽 지역으로의 이동이 더욱 편리해질 것입니다.
폐지노선 변경노선
2025년 2월 24일부터 일부 노선은 폐지되고, 또 다른 노선들은 변경될 예정입니다. 10년 만에 이루어지는 대규모 조정이니, 이용하시는 분들은 꼭 변경 사항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불편함 없이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겠습니다.
폐지노선
급행4, 급행6, 234, 449, 518-1, 750, 849-1, 909, 달서4, 달서4-1, 동구2, 서구1, 서구1-1, 칠곡4, 칠곡6번이 폐지됩니다.
자주 이용하던 노선이 있다면, 미리 대체 노선을 알아두시기 바랍니다.
폐지되는 노선들의 구간별 대체 노선 정보가 제공될 예정입니다.
변경노선
전체 122개 노선 중에서 53개 노선만 기존과 동일하게 유지됩니다. 22개 노선은 대폭 변경, 32개 노선은 일부 변경될 예정입니다. 변경된 노선 정보는 대구시 '버스정보시스템'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노선개편비교검색'에서 자세한 정보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대구 시내버스 개편 시간표
다음으로는 시간표 개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배차 간격 단축
- 기존 15분에서 14.7분으로 단축
- 실질적으로 61대 증차 효과
2) 운행 대수 유지
- 총 1,566대 유지
배차 간격이 0.3분 줄어든다고 하면 별로 차이가 없어 보일 수도 있지만, 실제로는 꽤 큰 변화입니다.
특히 출퇴근 시간대에는 이 작은 차이가 누적되어 상당한 시간 절약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제 경우에는 출근 시 버스를 자주 이용하는데, 가끔 버스를 놓쳐서 다음 버스를 기다리다 보면 꽤 스트레스입니다. 이번 개편으로 그런 일이 좀 줄어들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번 개편 후에는 조금은 나아질 것 같네요. 물론 노선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요. 😊 그리고 운행 대수는 그대로 유지된다고 하니, 버스 회사 입장에서도 큰 부담은 없을 것 같습니다.
대구 시내버스 개편 요금
2025년 대구 시내버스 노선 개편으로 요금 및 이용 관련해서도 변화가 있을 예정입니다. 아직 구체적인 요금 인상 계획은 발표되지 않았지만, 물가 상승 등을 고려했을 때 인상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됩니다.
1) 현금 수납 중단
- 전국 최초로 시내버스 현금 수납 전면 중단
- 교통카드나 QR코드 기반 모바일 교통카드만 사용 가능
2) 요금 납부 방법 다양화
- 교통카드 미소지 시 버스 내 요금납부안내서로 계좌이체 가능
3) 무임승차 연령 조정
- 시내버스: 74세에서 73세로 하향
- 도시철도: 66세에서 67세로 상향
이번 요금 개편 중 가장 눈에 띄는 것은 현금 수납 중단이 아닐까요? 처음에는 좀 불편할 수 있겠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승하차 시간을 단축시켜 전체적인 운행 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무임승차 연령 조정도 눈여겨볼 만한 변화인데요. 시내버스와 도시철도의 무임승차 연령을 점진적으로 통일시키려는 노력으로 보입니다. 2028년에는 70세로 동일하게 적용된다고 하니, 장기적인 계획 하에 진행되는 것 같네요.
대구 시내버스 개편 효과
이번 대구 시내버스 노선 개편이 우리에게 어떤 좋은 변화를 가져다줄지 알아보겠습니다. 2025년 2월 24일부터 시행되는 이번 개편은 10년 만에 이루어지는 대규모 변화인 만큼, 기대되는 효과도 많습니다.
이동 시간 및 배차 간격 단축
노선 굴곡도가 줄어들어 우회 운행이 감소하고, 통행 시간도 줄어들 것입니다. 복잡하게 돌아가던 길 대신, 더 빠르고 효율적인 경로로 이동할 수 있게 됩니다. 마치 내비게이션이 최적 경로를 찾아주는 것과 같습니다.
전체 배차 간격이 기존 17.9분에서 15.3분으로 줄어듭니다. 특히 간선 노선의 배차 간격은 12.4분에서 11.9분으로 더욱 단축됩니다. 버스를 기다리는 시간이 훨씬 줄어들 것입니다. 노선 간 중복도와 굴곡도도 개선됩니다.
대중교통 접근성 향상
그동안 버스 노선이 부족했던 지역이나 교통이 불편했던 곳에 새로운 노선이 신설되거나 기존 노선이 조정됩니다. 대중교통 이용이 더 편리해질 것입니다. 이제 버스 타기가 어려웠던 분들도 좀 더 쉽게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운행 효율 증가
버스 운행 길이도 약 100km나 연장됩니다. 배차 간격도 평균 20초 정도 줄어듭니다. 마치 버스가 61대나 증차된 것과 같은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기다리는 시간은 줄어들고, 더 많은 버스가 운행되니 훨씬 쾌적하게 이동할 수 있을 것입니다.
현장 안내 요원 배치
주요 정류장 500곳에 현장 안내 요원을 배치할 계획입니다. 낯선 노선 때문에 당황하지 마시고, 안내 요원에게 편하게 물어보시기 바랍니다. 친절하게 안내해 드릴 것입니다.